이번 사건은 한 지역의 창고에서 발생한 대형 화재로부터 시작되었습니다. 해당 창고에는 여러 유해화학물질이 보관되어 있었고, 화재 진압 과정에서 소방수에 섞인 오염물질이 인근 하천으로 흘러들어 심각한 수질오염이 발생했습니다.
이에 지자체는 창고 운영업체(원고)에게 “오염물질 제거 및 방제조치 결과 제출”을 명령하는 이행명령 처분을 내렸습니다. 그러나 업체는 “화재는 불가항력적 사고이며, 자신이 직접 오염을 유발하지 않았다”고 주장하면서 행정소송을 제기했습니다.
피고(지자체)는 처분의 정당성과 공익적 필요성을 입증하기 위해 법무법인(유한) 서평 일산분사무소를 선임하였습니다.
장진훈 변호사의 조력
법무법인(유) 서평 일산분사무소는 이번 사건에서 환경법적 책임의 본질과 방제의무의 법적 근거에 초점을 맞추어 대응하였습니다. 저희는 다음과 같은 전략을 세웠습니다.
- ① 방제조치 불이행 입증 — 실제 방제조치는 지자체가 직접 수행하였고, 원고는 이를 이행하지 않았다는 점을 객관적 자료로 입증했습니다.
- ② 형식적 조치 주장 반박 — 원고가 제출한 폐기물 처리 계약 등은 지자체의 지시로 형식적으로 이루어진 것일 뿐, 실질적인 조치는 없었다는 점을 강조했습니다.
- ③ 법적 근거의 명확성 확보 — 환경정책기본법 및 물환경보전법에 따라 사업자는 고의·과실과 무관하게 방제의무를 부담함을 법리적으로 입증했습니다.
- ④ 과실 및 인과관계 입증 — 화재조사보고서를 통해 화재 발생 원인이 사업자의 안전관리 소홀에 있었다는 사실을 밝혀냈습니다.
- ⑤ 비례원칙 위반 주장 반박 — 방제조치 명령은 국민의 건강과 환경 보호라는 공익적 목적에 비추어 정당하고 필요성이 크다는 점을 설득력 있게 주장했습니다.
이와 같은 논리적·법리적 대응을 통해 저희는 지자체의 처분이 법적으로 정당함을 명확히 입증하였습니다.
판결결과 - 원고 청구 기각 (피고 지자체 승소)
법원은 원고의 주장을 모두 배척하고, 지자체의 처분이 적법하다고 판결했습니다. 주요 판단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① 고의·과실과 무관한 방제의무 — 환경오염이 발생했다면, 유해물질의 보관·관리자는 고의가 없더라도 방제조치 의무를 부담한다.
- ② 사업자의 관리책임 인정 — 화재경보기 미작동, 안전시설 미비 등 관리상 과실이 인정된다고 판단.
- ③ 방제조치의 필요성·비례성 인정 — 수질오염 수준이 기준치를 크게 초과했으며, 시급한 대응이 필요했다는 점에서 방제명령은 정당하다고 보았습니다.
- ④ 법적 근거의 명확성 — 환경부령이 없더라도 상위 법령의 조문 자체로 방제의무의 근거가 충분히 존재한다고 판단했습니다.
결국 법원은 지자체의 조치가 적법하고 합리적이며, 공익을 위한 불가피한 행정행위라고 판시하였습니다.
이번 사건은 고의가 없어도 환경오염에 대한 사업자의 방제책임이 인정된다는 법리를 명확히 한 중요한 판례적 의미를 가집니다. 또한 “법령의 세부 기준이 미비하더라도 환경보호를 위한 행정조치는 정당하다”는 점을 재확인하였습니다.
이는 향후 유사한 환경사고에서 지자체의 신속한 방제조치와 사업자 책임 범위를 판단하는 중요한 기준이 될 것입니다.
장진훈 변호사는 30년간의 법관 경력과 그 중 19년간의 부장판사 경험을 바탕으로, 법원이 어떤 논리를 중시하는지를 정확히 분석하여 실질적인 승소를 이끌어냈습니다.
환경오염이나 행정처분 등 복잡한 사안에서는 사실관계와 법리의 정밀한 분석이 필수적입니다. 법무법인(유) 서평 일산분사무소는 풍부한 경험과 전문성을 바탕으로, 의뢰인에게 최적의 해결책을 제시해드립니다.
#환경오염소송 #수질오염 #방제조치 #환경법 #법무법인서평 #일산행정변호사 #장진훈변호사 #부장판사출신변호사 #환경사고대응 #지자체승소 #행정소송사례
![[행정] 유해물질 화재 유출 사건에서 지자체 처분 적법 판결, 승소 사례 2.jpg](/files/attach/images/2025/10/30/1f5bf5913511d94ef72c590dbacfcd41.jpg)
![[행정] 유해물질 화재 유출 사건에서 지자체 처분 적법 판결, 승소 사례1.jpg](/files/attach/images/2025/10/30/4334f2ce34b3b24fd86d44c6a01cff5f.jpg)